준비 및 사양
외관 | 청녹색 무정형 분말, 동결건조 | |
---|---|---|
활동량 | GradeⅢ 3,000U/mg-solid 이상 | |
오염물질 | 카탈라제 | ≤1.0×10-2% |
속성
안정성 | −20℃에서 안정적 최소 1년 동안 (그림 1) (6개월 이내에 약 10%의 활동 감소가 발생할 수 있음) | 분자량 | 32,0001) |
---|---|
등전점 | 4.95 2) |
구조 | 효소 분자당 2개의 하위 단위( 구리와 아연 1몰이 각 하위 단위에 결합되어 있습니다.) |
억제제 | 시안화물 4)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5) |
최적 pH | 9.0 (그림 .4) |
최적 온도 | 30℃ (그림 5) |
pH 안정성 | pH 7.0−8.5 ( 25℃, 20시간) (그림 6) |
열 안정성 | < td>70℃ 미만 (pH 7.0, 30분)(그림 7)
분석
원칙
< p class="mt10 imgAuto">환원된 시토크롬 C의 모습은 분광 광도법으로 550nm에서 측정됩니다.
단위 정의
아래 설명된 조건에서 하나의 단위는 시토크롬 C 감소 최대 억제 효과의 절반을 유발합니다.
방법
시약
아. K-인산염 완충액, pH 7.8 | 75mM |
---|---|
B. EDTA 용액 | 1.5mM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Na2 |
C. 크산틴 용액 | 0.75mM (0.004N NaOH 용액에 용해)(신선하게 준비해야 함) |
라. 잔틴산화효소 용액 | 0.04U/ml[잔틴산화효소(황산암모늄 현탁액, 약 4U/ml)를 H2O로 0.04U/ml로 희석](준비되어야 함) 최신) |
E. 사이토크롬 C 용액 | 0.15mM(말 심장에서)(신선하게 준비해야 함) |
F. 효소 희석제 | 10mM K-인산염 완충액, pH 7.8 |
절차
1.다음 반응 혼합물을 큐벳(d=1.0cm)에 준비하고 25℃에서 평형을 이루다 약 5분간 담가주세요.
2.0ml | 완충액 | (A) |
---|---|---|
0.20ml | EDTA 용액 | (B) |
0.20ml | 크산틴 용액 | (C) |
0.20ml | 시토크롬 C 용액 | (E) |
0.20ml | 효소액* | (F) |
분석 혼합물의 농도< /th> | |
---|---|
K-인산염 버퍼 | 51mM |
크산틴 | 50μM |
시토크롬 C | 10 μM |
EDTA | 0.10mM |
크산틴 산화효소 | 2.6mU/ml |
2.잔틴산화효소 용액 0.2ml를 첨가합니다(D ) 그리고 부드럽게 뒤집어 혼합합니다.
3.550nm에서 물에 대한 광학 밀도의 증가를 2~3분간 온도가 조절된 분광 광도계에서 기록합니다. 25℃, 곡선의 초기 선형 부분에서 분당 OD를 계산합니다(OD 테스트).
동시에 블랭크 비율(OD)을 측정합니다. 공란) 효소용액 대신 효소희석액(F)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다.
* 효소 제제를 얼음처럼 차가운 효소 희석제(F)에 녹이고 동일한 완충액으로 0.5−2.0U/ml로 희석한 후 얼음 위에 보관합니다.
계산
활동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체중 활동량(U/mg) = (U/ml)×1/C
Vs | : 검체량(0.2ml) |
df | : 희석 인자 |
C | : 용해 시 효소 농도(c mg/ml) |
참조
1)JMMcCord 및 I.Fridovich; J.Biol.Chem, 244, 6049 (1969)
2)J.Bannister, W.Bannister 및 E.Wood; Eur.J.Biochem., 18, 178 (1971)
3)I.Fridovich; Advan.Enzymol., 41, 35(1974)
4)COBeauchamp 및 I.Fridovich; Biochim.Biophys.Acta., 317, 50(1973)
5)REHeikkila, FSCabbat 및 G.Cohen; J.Biol.Chem., 251, 2182 (1976)
그림 1. 안정성(분말 형태)
(건조한 조건에서 보관)
그림 2. 안정성(분말 형태 5℃)
(건조한 조건에서 보관)
< img src="images/SOD_302_img09.jpg" alt="그림 3. 안정성(5℃의 액체 형태)">
그림 3. 안정성(5℃의 액체 형태)
완충액 구성: 10mM Kphosphate 완충액, pH7.0
그림 4. pH-활성도
25℃ 50mM 완충 용액: pH3.0-5.5, 아세테이트; pH5.5-8.5, 인산염; pH8.5-9.0, Tris-HCI pH10.0, 탄산나트륨
그림 5. 온도 활동
(50mM 인산염 완충액, pH7.0)
그림 6. pH 안정성
25℃, 50mM 완충액으로 20시간 처리: (그림 3 참조)
-
그림 7. 열 안정성
50mM 인산염 완충액, pH7.0으로 30분 처리
活性測정법(일본어)
1. 원본
Cytochrome C의 생성량を550nm에 맞춰 광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2.정의
下記条件下下로부터 Cytochrome C의 속도가 50% 증가합니다.酵素weightを1単位(U)토스루
3.試薬
- 75mM K-rin酸緩衝液,pH7 .8
- 1.5mM EDTA수溶液〔55.8mgのEthylenediaminetetraacetate-Na2(2H2O)を蒸留水100mlに溶解害〕
- 0.75mM Xanthine溶液〔0.004N NaOH溶液に溶解否}(용시계整)
- 크산틴 산화효소溶液〔硫安懸濁液(約4U/ml) を蒸留水下0.04U/mlに希釈后〕(용시계調製)
- 0.15mM Cytochrome C수액溶液(말심臓由来 Cytochrome Cを蒸留水に溶解冷)(용시계整)
酵素溶液:酵素標productを予め氷冷した10mM K-린酸緩 衝液,pH7.8에 溶解し,同緩衝液多0.5~ 2.0U/ml에 希釈して氷冷保存存 하십시오.
4.손
1.下記反応混液をikubett(d=1.0cm)に調製し,25℃ 에서 5분 간격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2.0ml | K -린酸緩衝液 | (A) |
0.2ml | EDTA수액液 | < td>(B)|
0.2ml | 크산틴 추출물 | (C) |
0.2ml | 사이토크롬 C수분액 | (E) |
0.2ml | 酵素溶液 | (F) |
2.크산틴 산화효소溶液(D )0.20mlを添加し, 유루や 나 混和後, 물を対 조명에 25℃に御御御傌た分光加し 550nm의 吸光変化を2~3分記録し, その初期直し, その初期直し, その初期直し, その初期直し, その初期直し, 1分 直りの광광도화(変化)求めRU(Δ ODtest)。
3.盲検は反応混液①に酵素溶液の代わりに酵素希釈液(10mM K- rin酸緩衝液,pH7.8)を加え,上記同様に操作を行たて,1分当りの吸光変化を求めuru(Δ ODblank)。
5.計算式
U/mg | = U/ml×1/C |
C | : 溶解시계의 酵素濃titude(c mg /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