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body-Antigen Reaction Accelerator [IHC]
Can Get Signal® immunostain Immunoreaction Enhancer Solution [NKB-401]
가격표
항원 항체 반응 촉진 시약
용도
●면역조직 염색, 면역세포 염색
설명
ImmunoHistoChemistry(IHC)의 버퍼로 사용하는 것 만으로 민감도,와 정확성을 높여 Stain signal을 더욱 선명하게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게 합니다.
Can Get Signal® immunostain 은 Western Blot이나 ELISA용으로 호평받고 있는 Can Get Signal® 을 IHC 전용으로 나온 항체 희석 버퍼입니다. 샘플에 따라 Solution A와 B 중 적합 테스트 후 선택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Starter Set;NKB-401) Solution A와 B는 모두 1 차 및 2 차 항체에 사용 가능합니다.
특징
●민감도와 특이성 개선
항원 항체 반응의 높은 특이성을 유지하면서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전에 비해 noise 없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 2차 항체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Background가 없는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쉬운 Ready-to-Use 타입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항체 버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리
실시예
1. Schneider 2 (S2)의 alpha-tubulin 염색에서 기존 방법과의 비교 실험
2 차 항체는 Alexa Fluor 488로 표지 된 anti-mouse IgG를 사용하여 Drosophila 세포주 (Schneider 2 (S2) 세포)의 alpha-tubulin 염색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이전에는 약간 광범위했던 tubulin signal이, Can Get Signal ® immunostain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선명하게 검출되어, 세포내의 Background 시그널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이하였습니다. 특히 Solution B 을 사용한 결과에서 더욱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하였습니다.
2. Glyoblastoma의 Olig2 염색에서 기존 방법과의 비교 검토
인간 및 뇌종양 (Glyoblastoma) [FFPE]에서 Olig2의 염색을 1 % BSA / PBS, Solution A 또는 Solution B로 희석 한 Anti-Human Olig2 Rabbit IgG 및 Alexa 594 goat anti-rabbit IgG(H+L)를 이용하여 검출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 방법에서는 약한 신호가 Can Get Signal ® immunostain을 사용하여 향상되었습니다. 특히 Solution A를 사용했을 경우 쪽의 염색이 더 선명하고, background도 억제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비특이적인 반응일 가능성도 생각되었고, 또 관찰하는 데 있어서는 Solution B를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3. Glyoblastoma의 CD133 염색에 있어서의 종래법과의 비교 검토
인간 및 뇌종양 (Glyoblastoma) [FFPE]에서 CD133의 염색을 1 % BSA / PBS, Solution A 또는 Solution B로 1/35 희석 한 Rabbit polyclonal to CD133-Stem Cell Marker 및 EnVision (Dako ChemMate)를 사용하여 검출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 방법에서는 약했던 신호가 Can Get Signal ® immunostain 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되었습니다. 단, Solution A를 사용한 경우는 background가 높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염색이 보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Solution B를 사용하여 항체의 희석 배율을 최적화 할 수 있었다.
※그 외의 실시예
실시 예 4 : Swiss 3T3의 Paxillin, p-Tyr, phalloidin에 의한 3 중 형광 염색 (면역 염색)
실시 예 5 : 간암 배양 세포의 FOXO1 염색에서의 종래 방법과의 비교 검토 (면역 염색)
실시 예 6 : Xenopus의 난소 염색에서 종래의 방법과의 비교 연구 (면역 염색)
실시 예 7 : 쥐 경동맥 풍선 주입 모델의 신생 내막에서의 R-Ras 발현 분석의 비교 연구 (면역 염색)
실시 예 8 : 피부 모델에서 PCNA (증식 세포 핵 항원)의 검출 (면역 염색)
실시 예 9 : 소 수정란에서의 열 충격 단백질의 발현 및 국소 분석 (면역 염색)
실시 예 10 : ST2 세포에서 리소좀 마커 LAMP-1의 검출 (면역 염색)
기타 실시예
참고 문헌
1)K. Moriguchi, et al., Plant Cell. , 17 (2):389-403.(2005)
2) Tokuda M, et al., BIOLOGY OF REPRODUCTION 76 : 130-141. (2007)
3)K. Tamura, et al., The Plant Cell 19 :320-332(2007)
4) H. II, et al.,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31 (3):363.(2008)
5) K. Tokuhiro, et al., Asian J Androl 10 (5):711-718.(2008)
제품 내용
【NKB-401】
Solution A 5mL×1개
Solution B 5mL×1개
【NKB-501】
Solution A 20mL×1개
【NKB-501X4】
Solution A 20mL×4개
【NKB-601】
Solution B 20mL×1개
【NKB-601X4】
Solution B 20mL×4개
- 비고
웨스턴 블롯 ELISA 는 Can Get Signal ® Immunoreaction Enhancer Solution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포인트 조언
FAQ는 이쪽
Can Get Signal ® 실시예집
Can Get Signal ® 실시예집 2
●본제품에 대해 본제품은 조직 절편이나 세포등의 「생체 샘플상의 항원」과 항체와의 반응에 지적화되어 있습니다.
・ABC법이나 폴리머 콤플렉스법 등의 증감 시스템과의 병용도 가능합니다.
・파라핀 포매 절편, 동결 절편, 세포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Solution A와 B에 대하여 Solution A와 B는 면역 반응의 촉진 작용이 다릅니다. 어느 용액이 적합한지는 양쪽이 세트로 되어 있습니다. 검토 시에는 1차 항체·2차 항체 모두 Solution A, 1차 항체·2차 항체 모두 Solution B의 2종류의 패턴으로 검토해 주십시오.
FAQ는 이쪽 →
English Page
관련상품
항원 항체 반응 촉진 시약
항원 항체 반응 촉진 시약
항원 항체 반응 촉진 시약
제품 내용
【NKB-401】
Solution A 5mL×1개
Solution B 5mL×1개
【NKB-501】
Solution A 20mL×1개
【NKB-501X4】
Solution A 20mL×4개
【NKB-601】
Solution B 20mL×1개
【NKB-601X4】
Solution B 20mL×4개
- 비고
웨스턴 블롯 ELISA 는 Can Get Signal ® Immunoreaction Enhancer Solution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포인트 조언
FAQ는 이쪽
Can Get Signal ® 실시예집
Can Get Signal ® 실시예집 2
●본제품에 대해 본제품은 조직 절편이나 세포등의 「생체 샘플상의 항원」과 항체와의 반응에 지적화되어 있습니다.
・ABC법이나 폴리머 콤플렉스법 등의 증감 시스템과의 병용도 가능합니다.
・파라핀 포매 절편, 동결 절편, 세포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Solution A와 B에 대하여 Solution A와 B는 면역 반응의 촉진 작용이 다릅니다. 어느 용액이 적합한지는 양쪽이 세트로 되어 있습니다. 검토 시에는 1차 항체·2차 항체 모두 Solution A, 1차 항체·2차 항체 모두 Solution B의 2종류의 패턴으로 검토해 주십시오.
FAQ는 이쪽 →
English Page
※ 법규제에 대해서
독독물 및 극물 단속법 [의약용 외독물]
극독물 및 극물 단속법 [의약용 외극물]
위험소방법[위험물]
신구입시에 신청서의 제출이 필요한 제품
없음상기 법령이나 신청서의 제출에 해당하지 않는 제품
국가국민보호법[독소]
세트카르타헤나 법 (유전자 재조합 생물 등의 사용 등의 규제에 의한
생물의 다양성 확보에 관한 법률)
PPRTR법(화학물질 배출 파악 관리 촉진법) [신고 의무 물질]
노동노동안전보건법[통지 또는 표시의무물질]